온라인마케팅 기본용어 2편
안녕하세요. 쓸모있는 이야기에서 마케팅이야기입니다. 이번에는 지난 글 온라인마케팅 기본용어 1편에 이어 2편을 다루겠습니다. 1편과 마찬가지로 용어 선정은 '소셜마케팅코리아 블로그'의 '이것만 외워도 마케팅 초보 탈출. 필독! 기본 온라인 마케팅 용어 33가지'를 참조했습니다.
17.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광고주가 제공한 정보를 마치 언론 기사처럼 보이도록 디자인한 온라인 광고입니다. 개인적으로 네이티브 광고의 경우, 일반 배너광고보다 센스있고 유머있다고 느껴져서 거부감이 들지 않았습니다. 각종 설문에 따르면 배너광고보다 주목도와 반응률이 높습니다.
18. DA(Display Advertising)
가장 기본적인 이미지 형태의 온라인 광고입니다.
19. SA(Search Advertising)
보통 키워드 광고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에 상품 검색시 가장 먼저 보이는 광고들이 있는데, 그 키워드에 입찰을 통해 노출된 광고들입니다. 해당 광고들을 선택한 경우들이 많은데, 광고비용이 비싼 이유가 있습니다.
20. PV(Page View)
웹페이지 방문자가 둘러 본 페이지 수입니다. 앞선 항목 중 체류시간과 함께 고객충성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쓰입니다.
21. UV(Unique Visitor)
중복방문을 제외한 방문자 수입니다.
22. CPM(Cost per Mile)
앞서 1편에서 '노출' 항목에서 언급했는데, 광고가 1000번 노출됐을 때의 금액입니다. 엄청난 구독자 수를 가진 파워블로거나 웹사이트의 경우 CPM이 적용된다면 수익이 상당합니다.
23. CPC(Cost per Click)
노출량 상관없이 클릭이 한번 발생할 때마다 과금입니다.
24. CPI(Cost per Install)
광고 노출량 상관없이 어플리케이션 설치 건당 과금입니다. 어플을 이용하는 것인만큼 모바일 광고가 중요하고, 설치까지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5. CPA(Cost per Action)
소비자가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행동을 취할 때 과금해주는 방식입니다. 구매, 회원가입, 다운로드 등이 속합니다. 단순히 보고 클릭하는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후속행동이 이어져야 하기 때문에 CPM이나 CPC보다 도달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26. CPV(Cost per View)
광고 시청당 비용입니다. 유튜브나 네이버 TV캐스트, 카카오 TV 등 주요 동영상 플랫폼에 사용됩니다. 요즘 가장 핫한 플랫폼이 유튜브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큰 플랫폼이지만 더 커질 잠재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됩니다. 5G시대에 모든 사람이 영상에 익숙해질 것이며, 이미 미래의 주생산자이자 소비층인 현재의 10대들이 유튜브 영상에 환호하는 걸 보면 CPV는 가장 주목해야 할 온라인 마케팅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27. CTA(Call To Action)
소비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행위 또는 요소입니다.
28. CTR(Click Through Rate)
광고 노출횟수 대비 클릭수이며, 클릭율이라고도 합니다. 클릭수/노출수*100으로 계산하며, 실질적인 광고 성과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아무리 애드센스 광고를 띄워봤자 유저들이 광고를 클릭하지 않으면, CPC에 해당하는 광고 수익은 나지 않을 것입니다.
29.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라고도 합니다. 앞선 항목들인 CPC, CPM, CPA 등을 하려면 웹사이트에 유저들의 방문이 선행돼야 합니다. 웹사이트 유입수를 높이려면 SEO가 필수적입니다. 지속적인 포스팅과 양질의 콘텐츠 등은 노력과 정성이 필요한 만큼 꾸준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30. SMO(Social Media Optimization)
소셜미디어 최적화를 말합니다. 소셜미디어 채널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페이스북, 인스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 채널 운영을 위해 꼭 준비해야 할 사항입니다.
31. DAU(Daily Active Users)
하루동안의 순수 이용자 수를 뜻합니다. 운영하는 채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32. MAU(Monthly Active Users)
한달동안의 순수 이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DAU보다 좀더 긴 기간의 지표입니다.
33. RTB(Real Time Bidding)
실시간 광고 입찰 시스템입니다. 광고 인벤토리에 가장 높은 가격의 광고주가 광고를 거는 실시간광고경매라 보면 된다는데, 이전에는 정해진 가격의 지면에 광고를 하는 단순한 방식이었습니다. RTB는 다양해지는 광고 매체와 플랫폼, 광고주들의 다양한 요구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엔 실시간 입찰로 인한 경쟁 과열로 부정적이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오히려 더 효율적이고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합니다.
'쓸모있는 정보이야기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디지털마케팅 트렌드 (0) | 2018.04.19 |
---|---|
온라인마케팅 기본용어 1편 (0) | 2018.04.19 |